평택수어통역센터 | 평택수어통역센터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평택수어통역센터 | 기관소개 -

평택시수어통역센터 로고

타이틀 설명
배경패턴이미지
배경박스이미지

수어방송

평택수어통역센터

‘라면·김치·국’ 한국 음식 모두 짠데…나트륨 줄이는 ‘조리법’ 있다

페이지 정보

댓글 0건 작성일 25-08-06 21:09

본문




라면, 김치, 국물류 등 짠 음식을 주로 먹는 한국인이 하루에 평균적으로 섭취하는 나트륨량이 WHO 권고 기준에 비해 1.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을 줄이고 나트륨을 덜 수 있는 조리법이 권장된다.

1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지난 2023년 한국인의 하루 평균 나트륨 섭취량은 3136mg으로 WHO 권고기준(하루 2000mg·소금 5g)에 비해 약 1.6배 높은 수준이다. 2011년 4789mg과 비교했을 때 34.5% 낮아졌고, 2019년 3289mg보다도 4.7% 감소했지만 여전히 짜게 먹고 있는 것이다.

남성의 나트륨 섭취량은 3696mg으로 여성(2576mg)보다 많았다.

나트륨을 가장 많이 섭취한 연령은 30~40대로, 하루 평균 3389mg을 먹었다.


하루 평균 나트륨 섭취량의 50% 이상은 주로 면·만두류(481mg), 김치류(438mg), 국·탕류(330mg), 볶음류(227mg), 찌개·전골류(217mg) 등에서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모든 연령대에서 라면과 김치를 통한 나트륨 섭취가 많다고 식약처는 분석했다.

또 치킨, 피자, 음료 등 음식점에서 한 끼를 먹으면 1522mg의 나트륨을 섭취했지만, 밥, 국, 반찬 등의 가정식을 먹으면 1031mg의 나트륨을 섭취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식약처는 나트륨 섭취를 줄이는 방법으로 소금·장류 대신 표고·다시마·멸치가루 등을 사용하고, 햄·소시지 등은 끓는 물에 데쳐서 먹을 것을 권장했다.

한편 한국인이 가공 식품으로 섭취하는 하루 평균 당류는 2023년 35.5g인 것으로 드러났다. 하루 총열량의 7.7%를 차지하고 있어 WHO 권고 기준(하루 총열량의 10% 미만) 이내다.


다만 여자 어린이·청소년·청년의 당류 섭취량은 WHO 권고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하루 당류 섭취량은 42.1~46.6g으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하루 총열량의 10%를 넘어섰다.

식약처는 당류 섭취를 줄이기 위해서 간식으로 과자나 빵 대신 신선한 과일을 먹고, 탄산음료보다 물을 마실 것을 추천했다.









새벽 3시 또 깼나요?…딱 ‘이것’만 챙겨 먹으면 그날 밤 ‘꿀잠’
주유소에서 “소비쿠폰 결제요”…‘이것’ 확인해 똑똑하게 쓰세요
지하철 왜 이렇게 덥나 했더니…시원하게 타는 ‘꿀팁’ 있었다
[오늘의 운세] 2025년 3월 6일
수박 3만원 시대, ‘이곳’에선 9천원대…“10년 전보다 싸다”
지금 ‘그 자세’, 안 고치면 치매 위험…“운동해도 의미 없다”
“육안으로 구별 불가능”…가짜 라부부, ‘이곳’ 통해 대량 유통됐다






m33xlh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평택시수어통역센터 로고
(우)17915 경기도 평택시 조개터로2번길 41, 평택시장애인회관 내 2층(합정동 936-3번지)
TEL 031-657-2283  | 휴대폰 010-5101-2283 | 이메일 ptdeaf1234@naver.com
Copyrightⓒ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