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수어통역센터 로고

타이틀 설명
배경패턴이미지

한국수어

평택수어통역센터

수화(手話·Sign Language)란?

소리가 아닌 을 이용해서 뜻을 전달하는 언어
요즘은 수어(手語)라고도 하며, 대부분 농인들이 사용한다. 수화의 의미는 동작을 통해 표현되며 동작마다 손의 모양(수형), 손바닥의 방향(수향), 손의 위치(수위), 손의 움직임(수동), 얼굴 표정(비수지신호)들의 조합을 통해 의사를 전달하는 방법으로 수화와 지문자(指文字)를 병용한다.

즉, 수어는 귀로 들을 수 없고 입으로말을 할 수 없는 농아인과 정상적인 대화에 어려움을 겪는 의사소통장애인들 사이에서 손과 팔의 동작, 손가락의 모양, 상황에 맞는 표정 등을 통하여 의사를 전달하는 방법으로 하나의 의사소통 수단이자 언어다.

수화는 신호가 이루어지는 위치손의 모양, 신호를 만드는 과정에서의 움직임으로 구서되며, 얼굴표정이나 몸의 움직임도 중요하다.

수어(手語·Sign Language)의 기원

우리가 삶을 영위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의사교환이다. 사상, 감정의 표현이 있어서 청각장애인은 건청인과 달리 손짓, 몸짓, 얼굴의 표정 등을 사용한다. 인간은 의사소통을 통하여 상호관계를 보다 원만하고 친밀하게 유지하여 사회성을 길러감으로 이것이 삶의현장에서 차지하는 위치는 매우 크다. 수어는 청각장애인들에게의사표현 또는 수용의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교육현장에서 수어가 언어습득에 방해된다고 오랫동안 금기 시켰었다. 시간이 많이 흐르고 정확한 의사소통을 위해 수어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농아인의 모국어이며 또한 농아인의 복지를 위하는 언어로 점차 자리매김함에 따라 지금은 통합적인 의사소통방법이 강조되고 있다. 수어는 인류가 이 지구상에 태어났을 때 부터 시작되었다고 생각되며 그 때의 수어는 자연발생적 손짓, 몸짓이었다.

한국수어 (韓國手語)

<언어> 대한민국 농문화 속에서 시각·동작 체계를 바탕으로 생겨난, 고유한 형식의 언어. 대한민국 농인의 공영어이다.
[비슷한 말] 한국 수화 언어.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우리나라에 수어가 정식으로 정규학교에 도입된것은 Rosetta Sherwood Hall이 1909년 평양에 맹아학교를 설립하고 부터이다. 한국수화의 지문자는 1947년 국립서울농학교 윤백원 선생에 의해 창안되었다.

배경그림
  • 농인

    聾人·Deaf People
    수어(수화)를
    제 1언어로 사용하는
    사람입니다.
  • 수어

    手語·Sign Language
    농인의 언어입니다.
  • QnA

    나라마다 다르며 지역
    사투리도 존재합니다.

    수어는 나라마다
        다른가요?

  • QnA

    어깨를 두드리거나
    팔을 흔들어서
    부를 수 있어요.

    농인은 어떻게
        불러야 하나요?

  • QnA

    한글 자막을 통해
    볼 수 있어요.

    농인은 TV나 한국 영화를
        어떻게 보나요?